1. VLAN이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여러 개의 구별되는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만들기 위해 단일 2계층 네트워크를 분할할 수 있는데, 이렇게 분리되면 패킷들은 하나 이상의 라우터들 사이에서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도메인을 가상 랜(영어: Virtual LAN)으로 부르며, 가상 근거리 통신망(영어: Virtual Local Area Network), 가상 LAN(영어: Virtual LAN), 또는 간단히 VLAN으로도 표기한다.
출처 : 나무위키
2. VLAN 특징
-OSI 계층의 2와 3에서 동작
-VLAN 사이의 통신은 3계층의 라우팅에 의해 제공
-VLANs 네트워크 브로드캐스 제어하는 방법 제공
-네트워크 관리자는 VLAN에 사용자를 할당
-VLANs 네트워크 노드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함으로써 네트워크 보안을 증가
3. Trunk란
하나의 포트에 다수의 VLAN 트래픽이 통과할 수 있는 것입니다.
4. 실습 구성
5. 실습
1) Router0 설정
Router(config)#int g0/0.1
Router(config-subif)#incapsulation dotlQ 1
Router(config-subif)#ip add 20.1.1.1 255.0.0.0
VLAN 1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Router(config)#int g0/0.2
Router(config-subif)#encapsulation dotlQ 10
Router(config-subif)#ip add 150.1.1.1 255.255.0.0
VLAN 10을 설정합니다.
Router(config)#int g0/0
Router(config-if)#no shutdown
설정이 끝난 g0/0 포트를 활성화 시킵니다.
2) Switch 0
Switch(config)#int fa 0/1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fa 0/1 포트를 trunk로 바꾸어 줍니다.
Switch(config)#int fa0/2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fa 0/2 포트도 trunk로 바꾸어 줍니다.
추가적으로 이 스위치에서 VLAN을 사용하기 위해서 VLAN을 따로 만들어 줘야 합니다. 저의가 라우터에서 vlan 1, 10을 만들었으므로 VLAN 1, 10을 만들어 주면 됩니다.
Switch(config)#vlan 1
Switch(config)#vlan 10
만들어준 VLAN을 fa0/3, fa0/4에 적용하면 됩니다.
Switch(config)#int fa0/3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itch(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
모드를 trunk가 아닌 access로 바꾸고 vlan 1을 사용한다 정의했습니다.
Switch(config)#int fa0/4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itch(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0
모드를 trunk가 아닌 access로 바꾸고 vlan 10을 사용한다 정의했습니다.
3) Switch 1
Switch(config)#int fa 0/1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fa0/1 trunk를 사용한다고 정의합니다.
여기서도 Switch 0과 마찬가지로 VLAN을 만들어 줘야 합니다.
Switch(config)#vlan 1
Switch(config)#vlan 10
만든 VLAN을 fa0/3, fa0/4에 적용시킵니다.
Switch(config)#int fa0/3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itch(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
VLAN 1을 사용하고
Switch(config)#int fa0/2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itch(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0
VLAN 10을 사용합니다.
4) Desktop 설정
IP, Subnetmask, Gateway를 설정합니다. 여기서는 따로 설명하지는 않겠습니다.(간단한 것이기때문입니다....ㅎㅎ)
5)결과 확인
통신이 잘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술 노트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cket Tracer] NAT, PAT 실습 (0) | 2024.12.12 |
---|---|
[Packet Tracer] OSPF 실습 (0) | 2024.12.10 |
[PacketTracer]네트워크 구축 실습 (0) | 2024.10.16 |
[Network]IP주소체계 와 서브네팅 (0) | 2024.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