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Pv4 & IPv6
IPv4는 32비트를 사용하며 IPv6는 128비트를 사용합니다. 흔히 사용하는 것은 IPv4입니다. 하지만 IPv4의 사용 가능한 수가 많이 줄어 들어 그 대안책으로 IPv6가 나오게 된 것입니다.
2. IPv4 형태
IPv4는 32비트로 8비트씩 묶어 옥텟이라 부르며 구분을합니다.
127.0.0.1
01111111 . 00000000 . 00000000 . 00000001
3. 네트워크 주소 & 호스트 주소
IP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렇게 구분하는 이유는 어떤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지 해당 네트워크 내에서 어떤 호스트인지 구별하기 위해서 만들어 졌습니다.
-네트워크 주소 : 네트워크를 구분하는 번호
-호스트 주소 : 네트워크 속한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번호
이렇게 네트워크 주소나 호스트 주소 범위를 구별하게 하기 위해서 class라는 것을 사용합니다.
4. class
1) A class
-첫 옥텟에 첫 1 bit가 0인 것이 특징입니다.
-Routing Mask는 255.0.0.0 입니다.
-127.0.0.1은 루프백 주소로 일반적인 주소로 사용이 안 됩니다.
2) B class
-첫 옥텟에 첫 1 비트가 1인 것이 특징입니다.
-Routing Mask는 255.255.0.0 입니다.
3) C class
-첫 옥텟에 2 비트가 1인 것이 특징입니다.
-Routing Mask는 255.255.255.0 입니다.
4) D class
-첫 옥텟에 3 비트가 1인 것이 특징입니다.
-멀티캐스팅 전용으로 일반적인 목적을 가지고 사용하지 않습니다.
5) E class
-첫 옥텟에 4비트가 1인 것이 특징입니다.
-연구용으로 사용이 됩니다.
5. 서브넷팅
IP 주소를 그냥 할당해 사용하게 되면 수 많은 IP 주소들을 낭비하게 됩니다. 그래서 IP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서브넷팅이라는 것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렇게 분할 된 네트워크를 서브넷이라고 합니다.
서브넷 주소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호스트 주소 영역에서 비트를 빌려와 생성하게 됩니다.
만약 4개의 비트를 빌려 온다라고 가정을 했을 시 이렇게 표현이 될 것 같습니다.
6. 서브넷 마스크
서브넷팅이라는 것을 통해서 호스트 영역의 비트를 빌려 올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랬을 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 영역을 구별하기 어려워 지게 됩니다. 그래서 서브넷 마스크라는 것이 등장 했습니다.
서브넷 마스크를 표현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주소 부분은 1 호스트 주소 부분은 0으로 해주면 됩니다.
192.0.0.13 이라는 주소의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240 이라는 값이 나오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192.0.0.13/30 이라고도 나타낼 수가 있습니다.
'기술 노트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cket Tracer] NAT, PAT 실습 (0) | 2024.12.12 |
---|---|
[Packet Tracer] OSPF 실습 (0) | 2024.12.10 |
[Packet Tracer] VLAN 구축 실습 (2) | 2024.12.09 |
[PacketTracer]네트워크 구축 실습 (0) | 2024.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