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노트/network

[Packet Tracer] NAT, PAT 실습

bigwhaleking 2024. 12. 12. 23:54

1. NAT

네트워크 주소 변환(영어: network address translation, 줄여서 NAT)은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쓰이는 용어로서, IP 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말한다. 패킷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IP TCP/UDP의 체크섬(checksum)도 다시 계산되어 재기록해야 한다. NAT를 이용하는 이유는 대개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함이다. 많은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NAT를 편리한 기법이라고 보고 널리 사용하고 있다. NAT가 호스트 간의 통신에 있어서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출처 : 나무위키

 

2. PAT

NAT(네트워크 주소 변환) IP 패킷에 적힌 소켓 주소의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이다. 패킷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IP TCP/UDP의 체크섬(checksum)도 다시 계산되어 재기록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성능(레이턴시)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출처 : 나무위키

 

3. 실습 구성

 

4. 실습

 

1) Router 0

Router(config)#int s0/3/0
Router(config-if)#ip add 200.1.1.1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utdown
Router(config)#int g0/0
Router(config-if)#ip add 192.168.0.1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utdown
Router(config)#router rip
Router(config-router)#net 200.1.1.0
Router(config)#ip nat pool nat-prac 200.1.1.10 200.1.1.15 netmask 255.255.255.0
Router(config)#ip nat inside source list 10 pool nat-prac
Router(config)#access-list 10 permit 192.168.0.0 0.0.0.255

 

만약 PAT로 하고 싶다 했을시 Router(config)#ip nat inside source list 10 pool nat-prac overload로 작성해주면 됩니다.

Router(config)#int s0/3/0
Router(config-if)#ip nat outside
Router(config)#int g0/0
Router(config-if)#ip nat inside

 

2) Router 1

Router(config)#int s0/3/0
Router(config-if)#ip add 200.1.1.2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utdown
Router(config)#int g0/0
Router(config-if)#ip add 150.1.1.1 255.255.0.0
Router(config-if)#no shutdown
Router(config)#router rip
Router(config-router)#net 200.1.1.0
Router(config-router)#net 150.1.0.0

 

3) Desktop

설정은 간단하기에 건너 뛰겠습니다.

 

4) 결과

Router#show ip nat translations

또는

Router#debug ip nat

를 통해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잘 되는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